은일(隱逸)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05:53
본문
Download : 은일(隱逸) 분석.pptx
설명
은일(隱逸) 분석
은일(隱逸) 분석 , 은일(隱逸)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은일 隱逸
순서
은일,隱逸,인문사회,레포트
은일(隱逸) 분석
Download : 은일(隱逸) 분석.pptx( 85 )
레포트/인문사회
%20%EB%B6%84%EC%84%9D_pptx_01.gif)
%20%EB%B6%84%EC%84%9D_pptx_02.gif)
%20%EB%B6%84%EC%84%9D_pptx_03.gif)
%20%EB%B6%84%EC%84%9D_pptx_04.gif)
%20%EB%B6%84%EC%84%9D_pptx_05.gif)
%20%EB%B6%84%EC%84%9D_pptx_06.gif)
_SLIDE_1_
은일에 대하여
_SLIDE_2_
목차
1. 은일(隱逸)의 의의
1. 은일(隱逸)
2. 은일(隱逸)과 은둔(隱遁)의 차이
2. 中國 history(역사) 속의 은일
3. 은일(隱逸)의 미학적 의미 中國의 회화를 중심으로
1. 감춤과 숨김의 미학 : 은(隱)
(1) 선종(禪宗)의 은(隱) 미학
(2) 유가(儒家)의 은(隱) 미학
(3) 도가(道家)의 은(隱) 미학
2. 초탈과 자유의 미학 : 일(逸)
(1) 일(逸)의 예술론적 의미
(2) 일(逸)의 특징
4. 산수화에서 확인되는 은일文化(culture)
1. 격수(隔水)
2. 다리
3. 독서
5. 조경(造景)文化(culture) 와 은일(隱逸)
_SLIDE_3_
1.1은일(隱逸)
초세(超世)
현세에 대한 관심이나 명리(名利)에 연연한 욕망을 버리고 스스로의 고답(高踏)을 추구하는 것
초탈과 덕이 있는 너그러운 처세
도(道) - 궁극적인 존재
무위(無爲) - 인간이 따라야 할 행동에 관한 가장 궁극적인 원칙
회화와 시조 등의 문학, 조경文化(culture) 에도 influence(영향)
덕행이 높은 선비의 초세(超世)
3
1. 은일(隱逸)의 의의
_SLIDE_4_
1.2 은일(隱逸)과 은둔(隱遁)의 차이
4
유가
도가
은둔 위인지학(爲人之學)
은일 - 위기지학(爲己之學)
적극적
소극적
1. 은일(隱逸)의 의의
_SLIDE_5_
2. 中國 history(역사) 속의 은일
5
‘은사(隱士), 일민(逸民), 처사(處士), 은군자(隱君子)’ 현실에서 희망을 잃어버려 세속을 벗어나고자 하였거나, 마음 속 본성의 참모습을 믿고 이를 끝까지 지켜내려 한 사람들
선진시기
도가 세상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독립적 본성을 지킴
유가 세상에 자신을 드러내거나 숨기는 행동 모두 자신이 품고자 하는 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
2. 中國 history(역사) 속의 은일
_SLIDE_6_
위진남북조 시기 개인과 사회의 관계 문제에 대해 뚜렷이 자각
유가의…(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