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성신여대 심리학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7:34본문
Download : 성폭력_피해의_심리적_후유증.hwp
. 성폭력 피해 통계 𠎑년 Los Angeles Times 신문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모든 성인여성의 25% 정도가 18세 이전에 성인 남성과 원하지 않는 성접촉을 경험했으며, 남자의 경우는 대략 15% 정도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피해 경험자는 임상집단에서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살시도자, 약물중독자, 정신과환자 집단에서는 33% 에서 81%까지 성폭행...
인문사회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성신여대 심리학과
다. 그는 이때 18개의 어린이 성폭력instance(사례)를 들어 자신의 학설을 주장했는데, 이는 학계로부터 받아들여지지 않아 그는 이 뒤로 이런 글을 다시 발표하지 않았으며, 나중에는 자신의 理論을 수정해 버렸다.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성신여대 심리학과 김정규 1. 성폭력 피해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성폭력_피해의_심리적_후유증.hwp( 34 )





[인문사회]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성신여대 심리학과
설명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성신여대 심리학과 김정규 1. 성폭력 피해 ...
순서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성신여대 심리학과 김정규 . 성폭력 피해 연구사 프로이드는 1896년 히스테리와 신경증은 유전이나 생물학적 원인이 아닌 아동의 성폭력 피해 때문이라는 소위 `유혹理論`을 발표했다. 오히려 자기 스스로 자신의 理論을 의심했기 때문인데, 그것은 자기 꿈 analysis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어릴 때 가政府로부터 성추행을 당한 것을 기억해내면서 당황하여, 이를 부정하고 환자들의 진술도 의심해버렸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성폭력 피해의 심리적 후유증에 대한 연구는 프로이드에 의해 이미 100년전에 처음 되었으나, 그 자신에 의해 금방 싹이 잘리우고 말았다. 서구에서 성폭력 피해에 대한 연구가 다시 활발하게 전개되기 처음 한 것은 불과 20년도 채 안되지만 그 피해정도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점차 연구에 열기를 더해가고 있다. 그가 자신의 理論을 수정한 것은 반드시 주변의 압력 때문만은 아니었다. 즉, 성인이 어린이의 성기를 자극함으로써 후에 심리적 손상을, 특히 히스테리와 신경증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자신의 환자들이 보고한 성폭력 피해는 환자들이 상상한 것이었으며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었다.